성동2기 데이터분석가

[성동2기 전Z전능 데이터 분석가] DAY1-OT, 데이터분석

성동2기_YJ 2024. 5. 13. 17:41

2024.05.13 ☀️

 10시 OT 

처음에 아이스브레이킹을 위해 간단한 자기소개를 하며 긴장한 마음을 풀었다. 다들 따뜻하게 맞이해주셔서 마음을 놓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준비해주신 간식과 음료도 받았다!)

 

이후 프로그램 진행에 관해 간단하게 안내해주셨다.

 

10시~17시: 강의

17시~18시: 위와 같은 기술블로그를 작성하며 하루를 돌이켜보고 마무리하는 시간

 

그리고 3개월 동안 압축된 시간 속에서 달리는 프로그램이다보니 건강관리가 정말 중요하다고 강조하셨다.

(집가는 길에 헬스장을 끊어야겠다는 생각을 함...)

 

이후 앞으로 함께할 멘토님들께서 데이터분석가란 무엇인지, 앞으로 어떤 것을 공부하게 될지 안내해주셨다.

 

 15시 데이터분석가란? 

(박은비 대표님으로부터 들은 내용도 포함해서 같이 적었다.)

 

데이터 분석가는 설득과 소통이 활발한 직업이다.

사실 설득이라기보다는,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직업이라고 보는 것이 적합하다.

그렇지만 물론 기본적으로  EXCEL, SQL, Python을 다룰 줄은 알아야한다.

 

유용한 결과는 한번에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가설->검증->개선의 반복에서 나온다.

IT 제품 개발 방법론인 애자일(Agile)을 활용하여 신속하게 실패하고 다시 보완하는 것이 유리하다.

 

문제를 드러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맞는 말이라고 생각했다. 내 경험에도 한번에 완벽을 추구하는 것보다는 계속 반복해서 도전하는 것이 많이 얻었던 것 같기에.

 

 

또한 다음 질문 사이에서 항상 고민하고 균형을 잘 잡아야한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인가? VS 고객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데이터분석의 단계>

1. 문제정의

2. DATA 수집

3. DATA 전처리

4. DATA 모델링

5. 시각화 & 탐색

* 이 중 문제정의와 DATA수집이 80%, 나머지가 20%를 차지한다고 보면 된다.

 

 

 

 

<데이터 직종>

데이터 엔지니어 API 구축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RAW 데이터 정리 및 구축 구성
데이터 분석가 비즈니스 도메인, IT 기술, 문제해결능력

 

*비즈니스도메인: 해당 회사가 무슨 일을 하는지에 대한 이해도 (eg. 자동차 회사라면 자동차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함)

 

 

 

 

<데이터 분석가의 커리어>

 

1. 풍부한 도메인지식 & 통찰력

한 업계에서 오래오래 있으며 도메인 지식이 많을 수록 유리하다.

 

2. 풍부한 분석기술 & 커뮤니케이션 능력

어떤 비즈니스 도메인이든 시작해서 배워가는 것이 유리하다.

 

3. 아직 둘 다 부족하지만 회사와 같이 성장

일단 도전!!

 

 

 마무리 

아직은 낯설기도 하고 잘할 수 있을지 긴장도 많이 된다. 강의를 들으면서 기왕이면 풍부한 도메인지식과 통찰력을 활용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열심히 공부해야겠지...

오늘은 이렇게 기술 블로그를 쓰면서 정리하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우선은 코딩을 위해서 영문타자연습 200까지 끌어올릴 수 있도록 연습!! 지금은 평균 170~180 정도 나오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