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글의 조직 명료화하기- 개요 쓰기
설득하는 글 계획하기
새로운 아이디어 생성하기
- 보다 좋은 생각
- 다른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 내가 아직까지 고려하지 않은 중요한 사항은
아이디어 발전시키기
- 명확하게 표현하기
- 가능한 비판 고려하기
개요만 봐도 무슨 이야기를 할지 예상이 가야 한다.
개요를 쓴다는 것은, 글을 절반은 이미 썼다는 이야기.
브레인스토밍을 한 뒤 그룹화하기!
개요 작성 = 내용의 나열 (X)
글 전체 내용 및 구조에 대한 검토와 보완작업 포함.
글쓰기 전에 이루어지는 한 편의 작업과정
개요를 작성하면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보완해야 하는지 드러난다!
하고싶은 말은 본론에서 다 끝나야한다.
결론에서 새롭게 말을 꺼내서는 안된다!
결론은 마무리. 즉, 재강조와 이 논의의 한계와 우리가 더 나아가야하는 방향이 무엇인지를 말하는 부분.
개요 및 소제목은 간결하게!
eg. 확장/재확장 => 재개념
서론의 첫 단락은 보통 일반적으로 드러난 문제들, 같이 고민하고 있는 지점들을 말하고 깔대기처럼 확장한다.
(격언/ 통계 / 견해 등을 시작하면서 가져오는 것도 한 방법)
표지어를 잘 써야지 글이 쫀쫀해진다.
기존에 ~이런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런 경향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졌다.
이런 문장 뒤에는 구체적인 레퍼런스를 적어도 2개는 달아야한다!
서론의 마지막 문단.
본고에서는 ~~~~~~ 내용을 이야기하고 ~~~~~하고자한다.
이를 통해 ~~~~~을 하고 궁극적으로는 ~~~~하고자 한다.
'챌린지라이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챌린지라이팅]DAY6 (0) | 2025.01.14 |
---|---|
[챌린지라이팅]DAY5 (0) | 2025.01.09 |
[챌린지라이팅] DAY3 (0) | 2025.01.02 |
[챌린지라이팅] DAY1 자신의 글쓰기 과정과 결과 성찰 (0) | 2024.12.26 |